GS25 일부 매장 자판기 통해 골드바 판매
페이지 정보
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5-02-14 16:18 조회475회관련링크
본문
금 사재기 열풍으로 시중은행에서 골드바 판매가 속속 중단하는 가운데 일부 편의점에서는 골드바 판매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.
‘금테크(금+재테크)족’의 발길이 편의점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.
13일 업계에 따르면 GS리테일은 서울 역삼점, 마곡점 등 편의점 13곳, 슈퍼마켓인 GS더프레시 10곳 등에서 금 자판기를 통해 골드바를 판매 중이다.
미리 확보해놓은 재고가 있어 금 판매가 중단되지 않고 판매가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.
최근 금 수요가 급증하고 한국조폐공사가 사상 처음으로 금 공급을 중단하면서 KB국민은행이 골드바 판매를 중단한 것과 대조적이다.
GS리테일은 2022년 9월 처음 편의점과 슈퍼마켓에 금 자판기를 도입해 금을 판매하기 시작했다.
자판기를 통해 판매되는 상품은 골드바 1돈부터 10돈까지 다양하다. 올해 1월 GS리테일이 판매한 금 관련 매출만 3000만 원어치로 집계됐다.
2022년 9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누적 판매금만 42억 원에 달한다.
GS리테일은 이같은 금 판매의 비결로 최근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투자 선호도가 빠르게 늘어난 데다가 편의점 내 자판기를 통해 비대면으로 안심하고
살 수 있다는 점을 꼽았다.
지난해 4월 카드형 골드 제품을 판매했던 CU편의점은 금값의 추이를 지켜보는 분위기다. CU편의점은 지난해 금값이 오르면서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금
제품을 찾는 수요가 있을 것으로 보고 0.1~2g대의 소량 금이 들어간 카드형 제품을 판매했다.
당시 1g 상품은 판매를 시작한 지 이틀 만에 품절될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.
그러나 이후 금값이 가파르게 오르면서 소량의 금이 들어간 제품조차 가격대가 두세배 뛰게 됐다.
편의점에서 판매하기 부담스러운 가격대가 돼버린 셈이다. CU편의점 측은 “작년에 한정된 수량으로 금 제품을 완판하고 추후 상품의 재도입을
논의하고 있다”며 “재테크 등 고객의 니즈를 살펴 차별화된 상품을 도입해 나갈 것”이라고 말했다.
한편 국제 금값은 온스당 3000달러를 목전에 두는 등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.
미국 정부가 글로벌 관세 전쟁을 펼치면서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가 폭증한 데서 비롯됐다.
시장에서는 한동안 금값 급등세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.